브릿지인 - 24년 하반기 건강보험공단 면접, 합격전략 ! (상황면접 자료 배포)
브릿지콜/인사이드
자소서 컨설팅
면접 컨설팅
마이페이지
현직자/전문가 전환
24년 하반기 건강보험공단 면접, 합격전략 ! (상황면접 자료 배포)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면접을 앞두신 여러분들을 위한 글을 준비했습니다. 아마 이 글을 보고 계시다면 필기를 합격하시고 이제 마지막 면접 절차만 앞두고 계실 것입니다. 이제 합격까지 딱 한걸음만 남으신 여러분들을 위해서 건강보험공단 면접 컨설팅을 오랜기간 맡아온 컨설턴트로서 중요한 컨설팅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글을 씁니다. 이 글을 통해서 반드시 좋은 결과를 받으실 수 있도록 기원하겠습니다.
Size: 620px x 620px

1.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면접유형은 왜 자주 바뀔까?

건보 면접은 매해 지속적으로 조금씩 변화한 측면이 있습니다. 인성 면접으로만 이뤄졌던 시절도 있었고 토론 면접을 도입했지만, 다시 없앴고 다시 도입했으며, 상황면접도 여타 대기업의 PT 면접과 같이 10~15간 자료를 읽고 A4용지에 발표 내용을 작성하여 면접관 앞에서 상황면접을 보는 형식이었지만 최근에는 면접관이 직접 상황을 읽어주면 이를 즉석에서 대답해야 하는 경험 면접 형식으로 변했습니다.
이렇게까지 면접유형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기업은 사기업에서도 흔치 않은데 왜 이렇게 자주 변하는 것일까요? 그건 아마 매해 건강보험공단이 처한 상황이 달라지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북유럽 복지 국가들의 가장 선진적인 의료보험 체계를 채택한 한국이지만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일어나고 있는 요즘 그리고 가구당 1도 안 되는 OECD 꼴찌의 출산율을 기록하는 요즘 건강보험공단의 미래는 마냥 장밋빛은 아니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정작 내가 늙어서 아플 때나 은퇴했을 때는 혜택도 못 받는데 내가 왜 내야 하느냐?'는 정서가 강해지고 있으며, 이는 건보의 업무 환경에 많은 변화를 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이런 건보의 상황에 맞는 인재를 뽑기 위해서 변화해 온 게 현재의 면접 유형입니다.
화나 있는 고객이 많은 요즘에 민원 처리를 해야 하는 당신이 어떻게 순발력을 발휘하여 업무를 해나갈지 보기 위해 10~15분 준비시간조차 주지 않고, 즉각적인 답변을 요구하는 상황면접으로 진화했습니다. 과거와 달라진 업무 환경(주 52시간제 시행, 직장 내 괴롭힘 법 시행 등) 임직원 기본권을 중요시하는 트렌드에 따라서 함께 잘 어울릴 수 있는 동료를 파악하고자 토론 면접의 재투입 했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형식적이긴 했던 인성 질문들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오직 면접을 보고 있는 면접자를 위한 질문들을 내놓고 있다는 점에서 '진짜 우리와 어울리는 인재를 뽑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출하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을 이해하고 면접에 임하시고, 이런 상황에 맞춰서 여러분들의 강점들을 면접장에서 어필한다면 반드시 합격할 것입니다^^

2. 국민건강보험공단 면접, 어떻게 진행될까?

​​(1) 토론 면접 (GD)
과거 2019년 이전에 건보는 토론 면접을 시행한 바가 있으며, 최근에는 대기업 PT 면접과 같은 상황면접으로 대체되었다가 부활하게 된 면접 유형입니다. 토론 면접이라고 하지만 GD 면접(Group Discussion) 즉, 토의 형태로 진행되는 방식이며 건강보험공단의 현안과 이슈 혹은 직무적인 내용과 관련된 '방안을 도출'하는 방식입니다. 주제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겁먹는 경우도 있지만 면접 준비만 착실히 하셨다면 현장에서 처음 접하는 내용이더라도 충분히 토론이 가능한 수준의 주제가 나오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토론 면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물론 내용 그 자체도 있지만, 50%는 결론까지 도달하기 위해서 함께 토론에 임하는 이들을 어떻게 배려하고, 이끌고, 중재하는지입니다. 그러므로 내용도 내용이지만, 태도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시고 임하셔야 합니다. 참고로 말을 별로 안 해도 합격한 사람은 있지만, 태도가 무례한데 합격한 사람은 없습니다.
우선 구체적인 주제 예시로는 "수검률 향상 방안, 보건의료 인력 부족 사태 해결 방안, 의료 수급권자의 암검진 활성화 방안 등 건강보험공단에서 진행하는 사업이나 관련된 이슈 등" 으로 나온 바 있으며, 만약 이번 토론 면접 주제로 연습하기원하시는 분들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전략 목표와 전략과제를 참고해서 생각해보시면 좋습니다.
Size: 596 x 438 px
예를 들어, 요양직이라고 하면 "장기요양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방안" 이라는 주제로 나오고, 실제 인정조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나 수급자의 불만 사항들이 참고 자료로 나올 수 있겠죠? 마찬가지로, 행정직이라고 하면 건강보험 징수 기반 강화라는 전략 과제에서 착안해 현재 건보료 징수가 잘 되지 않는 "장기 체납자 해결 방안" 이라는 주제로 토의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2) 상황면접 (SI)​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과거 건보의 상황면접은 사기업들의 PT 면접과 유사한 방식으로 업무와 관련한 상황을 A4용지로 주고 10~15간 분석하여 발표하는 방식으로 운영됐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대해 즉각적으로 답변해야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4년 상반기 기준) 토론 면접 이후 경험 인성 면접 (BEI) 을 진행하기 전에 면접관이 직접 상황을 읽어주고 (면접자는 읽을 수 있음), 이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를 묻는 형식이었다고 합니다. 5명의 면접자와 함께 면접을 진행하는 다대다 면접이지만, 5명 모두 주어진 상황이 달랐다고 합니다. 이런 방식의 상황 면접은 오직 건보에만 존재하고, 누구도 준비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적지 않게들 많이 당황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행인 것은 즉각적인 답변을 요구하는 상황면접 질문인 만큼 그 난도가 높지 않으며 사회생활에 대해서 적지 않은 고민을 해오셨다면 대답 자체는 가능한 수준의 질문들입니다. 예를 들어서 "상사가 부당한 지시를 했을 때 어떻게 하겠는가?" 정도이며 내 답변에 대한 꼬리 질문이 들어는 방식입니다. 이전 기출로 "작년 퇴사자가 일을 엉망으로 했는데 본인이 해당 업무를 대신 맡게 되었다.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라는 질문이 나온 적이 있는데, 어려운 질문은 아니지만 너무 쉽게 대답하기에는 깊이가 있는 질문이고, 어렵게 대답하기에는 가벼운 질문이라는 느낌입니다. 그러므로 상황면접 대처를 위해서 다양한 질문들에 대처하시는 연습을 해오심을 추천해 드립니다.
Size: 596 x 596 px
​​(3) 경험(행동)면접 (BEI)

: 건보에서 가장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면접의 형태로서 사실상 당락의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다대다 형태로 진행되며, 지원자들의 경험을 물어보는 인성 면접의 방식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갈등 경험"을 묻는 수준이 아니라 "팀 활동을 할 때 비협조적이거나 무임승차하려는 팀원이 있었던 경험을 말해달라" 라는 식으로 디테일한 질문으로 나오는 편이기때문에 열심히 준비했다하더라도 막상 면접장에서 생각이 안나서 답변을 못하는 경우도 있고 갑자기 새로운 경험을 떠올려서 스스로 말리는 경우들도 많습니다.
지금까지 나왔던 수많은 기출 질문들에 일일이 답변 스크립트를 만들지 말고, 질문의 성격에 맞는 내 경험 에피소드를 5~8개 정도 준비해서 소위 말하는 경험 돌려막기 연습을 하셔야합니다. 이러한 방향을 잘 알고 준비하신다면, 어떠한 당황스러운 질문에도 답변이 가능하도록 스크립트를 구성하실 수 있을 겁니다.

3. 어떻게 하면 고득점을 받을 수 있을까?

건보 면접을 준비하시는 분들 중에서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가 건보를 UN이나 UNICEF와 같은 인도적 기구로 보시고, 무작정의 지원과 투자를 아무렇지 않게 언급하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지만, 한국의 국민건강보험과 국민연금 체계는 끝이 긍정적일 수 없는 길을 걷고 있으며, 정치권의 강제적 개혁을 통해서만 살아남을 수 있는 상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두 단체는 이미 과하게 지출되고 있는 재원을 늘리는 게 주목적이 아니라,​ 재원을 최대한 지키고 언젠가는 개혁하게 될 이 체제를 조금이라도 더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니 "사정이 정말 딱해 보이는 고객이 와서 사정하는 고객에게 어떻게 할 것이냐?"에 대해서 무조건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을 찾는다고 하지 마시고, "규정에 대한 엄격한 준수를 기반으로 한 다른 여타 사업들에 대한 이해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게 하겠다"로 말한다거나 건보가 현시점에서 고민하는 "생존과 현상 유지" 에 맞춰서 대답하세요.

그러면 건보가 생존하고 현상을 오래 유지할라면 뭐가 중요할까요? 더 많은 재원을 확보 하던가 아니면 재원을 덜 쓰던가 입니다. 그걸 잘할라고 하면 당연히 똑부러진 우리 어머님들처럼 가계부 열심히 기록하고, 돈 헛되이 쓰지 않고, 이상한 투자 안하고 차곡차곡 돈을 모으면서 재테크도 해야겠죠? 딱 이런 사람을 건보에서 찾는 것입니다. 건강직 요양직은 아니라고요? 아닙니다... 말씀드렸던 것처럼 건보는 유니세프가 아니며 결국엔 효율적인 재정 관리가 중요한 기관입니다.
건보 면접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면접 질문들은 '사람'과 관련된 질문들로 이는 민원 업무, 현장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 상황들이나 실제 조직 생활을 하면서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안 맞는 사람'과 어떻게 지낼지를 보고 싶어 합니다. 모든 조직이 그렇지만 결국 사람으로 이뤄진 게 조직이며, 특히나 건보는 국민을 상대로 업무를 하는 만큼 그 무엇보다도 이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런 부분에서 충분한 호감을 주는 경험, 답변을 만들어내시면 확실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건보 면접, 어려워보이지만 정확한 방향을 알고 잘 준비하신다면 자신감있게 면접을 주도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로 메일 주소를 남기시면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도 함께 첨부드리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고객센터
운영 시간 : 365일 24시간
이메일 문의 : help.bridgein@gmail.com
브릿지인은 모든 거래에 대한 책임과 배송, 교환,
환불 민원등의 처리는 브릿지인에서 진행합니다.
자세한 문의는 E-mail : help.bridgein@gmail.com
유선 : 0507-0178-8289 으로 가능합니다.
서비스
회사소개
서비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소셜미디어
Company info.
회사명 : 브릿지인
대표자 : 이태헌
개인정보관리자 : 이태헌
사업자 등록번호 : 444-49-00951
대표전화 : 070-8095-1383
사업장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아중로 33, D동 205호(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 2025-전주완산-0246 호